
유산소 운동 제대로 하는 법 (토크테스트·인터벌프로토콜·심박존설정)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 감량, 심폐 지구력 향상, 심혈관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얼마나, 어떻게, 어느 강도로 해야 하는가’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유산소 운동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강도 설정·심박존·프로토콜·기구별 팁까지 전문가 관점에서 정리했습니다.
1. 유산소 운동의 목적
- 체지방 감량: LISS(저강도 지속성 운동) 중심, 30~60분
- 체력 강화: 인터벌 훈련(HIIT), 심폐 기능 향상
- 회복 목적: 액티브 리커버리(저강도 걷기·사이클)
Tip: 목적이 다르면 강도·시간·빈도도 달라져야 합니다.
2. 강도 설정 – 토크 테스트 & 심박존
토크 테스트
- 짧은 문장을 편하게 말할 수 있다 → 저~중강도(LISS 존)
- 문장은 가능하지만 호흡이 거칠다 → 중강도 이상
- 말이 거의 불가능하다 → 고강도(HIIT)
심박존 설정 (카르보넨 공식)
목표심박 = (최대심박 − 안정시심박) × 강도% + 안정시심박
- 최대심박 = 220 − 나이
- 안정시심박 = 아침 기상 직후 맥박 측정
목표 | 심박존 | 강도% | 특징 |
---|---|---|---|
지방 연소 & 지구력 | Zone 2 | 60~70% | 대화 가능, 장시간 지속 |
체력 향상 | Zone 3~4 | 70~85% | 호흡 거칠어짐, 인터벌 적합 |
스프린트·파워 | Zone 5 | 85~95% | 고강도, 30~90초 한정 |
3. 유산소 운동 유형
구분 | 설명 | 장점 | 단점 |
---|---|---|---|
LISS | Low Intensity Steady State, 저강도 지속성 | 관절 부담↓, 초보자 적합 | 시간 오래 걸림 |
HIIT |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고강도 간헐 | 시간 효율↑, VO2max↑ | 체력·기술 필요 |
MICT | Moderate Intensity Continuous, 중강도 지속 | 칼로리 소모↑, 지구력 향상 | 체력 부담 중간 |
4. 초보자 주간 루틴 예시 (주 3회)
- 월요일: LISS 35분 (빠른 걷기·사이클 rpm 70~90)
- 수요일: 인터벌 1:2 비율 × 10라운드 (예: 30초 빠름 / 60초 느림)
- 토요일: LISS 40분 + 쿨다운 5분
5. 기구별 팁
- 트레드밀: 경사 2~3% 설정 → 무릎 충격↓, 보폭 자연스럽게
- 고정식 자전거: 안장 높이 → 무릎 최하단 살짝 굽힘
- 로잉머신: 드래그팩터 낮게 시작, 허리 라운드 금지
- 계단 오르기: 무릎 과도한 전방 이동 주의, 천천히 지속
6. 유산소 + 근력 순서
- 체지방 감량 목적: 근력 → 유산소 (글리코겐 소모 후 지방 산화↑)
- 체력 향상 목적: 유산소 → 근력 (심폐 능력 우선 강화)
7. 안전 수칙
- 운동 전 5~8분 워밍업 필수
- 운동 중 15분마다 150~250ml 수분 섭취
- 통증·현기증 시 즉시 중단
- 심장질환·호흡기질환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 후 진행
8. FAQ
Q1. 유산소는 매일 해도 괜찮을까요?
A. 저강도(LISS)는 매일도 가능하나, 고강도(HIIT)는 주 2~3회로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2. 체지방 감량은 공복 유산소가 더 효과적인가요?
A. 큰 차이는 없으며, 공복 시 저혈당·근손실 위험이 있어 초보자는 식후 가벼운 상태에서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유산소만 하면 근육이 줄어드나요?
A. 장기간 고강도 유산소만 하면 근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근력운동과 병행하세요.
마무리
유산소 운동은 단순히 ‘뛰기’가 아니라, 목적과 강도에 따라 전략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토크테스트와 심박존을 활용하면 초보자도 쉽게 자신에게 맞는 강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 편(5편)에서는 코어 근육 강화 운동 루틴을 플랭크·데드버그·브릿지 중심으로, 허리 통증 예방과 자세 교정까지 전문가 수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Tags:
건강운동